![]() |
▲아연(출처=게티이미지) |
아연은 1900년대 초부터 생명체의 필수 미량 원소로 인식돼 왔으며 결핍증은 1960년대 초 처음으로 인지됐다. 아연은 우리 몸에서 면역 체계, 성장, DNA 생산, 상처 회복 등에 관여하는 주요한 미량 원소다.
![]() |
▲아연이 풍부한 음식(출처=게티이미지) |
아연 결핍증은 적은 양이지만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원소인 아연이 부족해지면서 생기는 현상을 일컫는다. 아연은 육류, 굴, 조개류, 정제되지 않은 곡물 등에 풍부하며 최근의 서구화된 식단에서는 대개 아연 섭취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채식주의자, 영양결핍자, 임신한 여성 등은 아연 결핍의 위험성이 크다.
![]() |
▲아연이 결핍되면 탈모가 일어난다(출처=게티이미지) |
아연 결핍증이 있는 사람은 보통 면역체계 기능이 약하다. 이는 성장 문제, 식욕 감퇴, 면역 체계 손상과 같은 건강 문제에 더 쉽게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연 결핍의 정도에 따라 ▲소화장애 ▲탈모 ▲발기부전 ▲체중감소 ▲정신적 무기력 ▲미각 손상 ▲지연된 성적 성숙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
▲채소를 많이 먹으면 아연 결핍이 일어나기 쉽다(출처=게티이미지) |
어린이와 임산부들은 아연 결핍의 위험이 가장 큰 부류의 사람들이다. 이러한 그룹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아연 부족은 임신 중의 높은 아연 요구량과 유아의 제한된 음식 섭취에 의해 발생한다.
임신한 여성의 경우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게 아연 영양분을 나눠주고 있기 때문에 권장 아연 요구량이 증가한다. 또한 젖산염은 아연 공급을 감소시킨다. 아이가 7개월 이상이고 모유수유만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유아는 권장 아연 요구량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연 결핍에 걸릴 위험이 있다.
아이와 임신한 여성이 아연 결핍증에 걸릴 위험이 높지만 위장 질환자, 채식주의자, 알코올 중독자 등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아연 결핍증이 일어난다.
![]() |
▲임신한 여성도 아연 결핍증에 걸리기 쉽다(출처=게티이미지) |
임신, 모유수유, 알코올 중독이 아연 결핍을 불러일으킨다.
임산부는 필수적인 아연 영양소를 아기에게 공급하기 때문에 아연 결핍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모유 수유 중인 산모는 필수 아연 영양소를 공급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7개월 이상 된 아이에게 아연 결핍증을 일으킨다. 알코올 중독자는 아연 결핍증에 걸리기 쉽다. 알코올은 정상적인 아연 소화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 |
▲다크 초콜릿은 아연이 풍부하다(출처=게티이미지) |
몸에 아연을 공급하는 데 효과적인 음식은 호박씨, 다크 초콜릿, 참깨, 밀배아, 마늘이 있다.
1. 호박씨 : 호박씨는 아연을 몸에 공급하는 최고의 음식이다. 일반적으로 날 것으로 먹어야 아연 공급에 좋다.
2. 다크 초콜릿 : 설탕이 들어있지 않은 다크 초콜릿 100g은 아연 9.6mg을 공급한다.
3. 참깨 : 호박씨와 마찬가지로 참깨는 날 것으로 먹는 게 좋다. 구운 참깨는 100g당 10mg의 아연을 공급한다.
4. 밀배아 : 히알루론산염이 풍부한 밀 배아는 매일 식이 요구 사항을 초과하는 아연을 공급한다. 밀배아 100g당 17mg의 아연이 들어있다.
5. 마늘 : 위에 나열된 식품만큼 아연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망간, 비타민C, 비타민B6, 셀레늄과 같은 영양소를 몸에 공급한다.
[팸타임스=위아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