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장인 (출저=ⒸGettyimagesbank) |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저리로 전월세보증금을 대출하는 제도가 있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로 최근 이 제도를 알아보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낮은 금리로 대출이 가능한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의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자.
![]() |
아파트(출저=ⒸGettyimagesbank) |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사회초년생이나 청년들은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의 정보를 구하기 위해 인터넷에 떠도는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후기나 퇴사여부, 연봉 등을 많이 검색해본다. 그러나 이 대출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건을 따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대상은 대출신청일 기준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지원을 받은 자에 한해서 진행된다. 조건은 현재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 또는 예비세대주,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자, 배우자의 합산 총 소득이 5,000만원 이하인자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
신청 (출저=ⒸGettyimagesbank) |
대상 주택, 한도와 상환 방법
대출 대상에 충족하는 주택은 임차 전용면적 85m²이하의 주택(85m²이하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에 한해 실행되고 있다. 또한 대출 한도는 1억 원이다. 대출기간은 2년이며 4회 연장 가능하고 최장 10년까지 가능하다. 상환방법은 만기일시 상환된다.
대출 담보는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되며 전세안심대출보증서와 일반전세자금보증서 담보가 있다. 대출 금리는 연 1.2%로 고정금리다. 현재 다니고 있는 기업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조회 할 수 있다.
![]() |
은행 (출저=ⒸGettyimagesbank) |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은행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지만, 가장 정확한 방법은 은행에 직접 방문해 상담하는 것이다. 업무취급은행은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 신한은행 총 5곳이다. 그러나 이 대출은 은행 대출상품이 아닌 국가에서 지원하는 대출이기 때문에 1금융권 어느 곳을 가도 대출 한도는 같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
은행을 방문하기 전에 준비해야할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재직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을 지참해 방문하면 더 빠르고 수월한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대출이 100% 되는 것이 아니라연봉이 낮은 사회초년생들은 1억원 한도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다.
[팸타임스=표광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