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출처 = 셔터스톡 |
고양이의 코는 매우 민감한 신체 부위다. 코를 자세히 관찰하면 고양이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보통 코가 촉촉하고 시원하면 고양이가 건강한 상태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수의사들은 고양이 코가 따뜻하고 마른 상태라고 해서 고양이의 건강이 좋지 않은 것은 아니라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고양이의 코가 어떤 상태일 때 우리는 반려묘를 병원에 데려가야 하는가?
고양 코가 건조하지만 부드럽다면 그다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탈수증이나 발열이 있을 때 고양이의 코는 건조해지며 심각한 질병이 있는 상태는 아니다. 또 고양이 코는 자고 일어났을 때 등 건강 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도 건조해질 수 있다. 따라서 촉촉한 코와 고양이의 건강을 무조건 연관지어서는 안 된다.
고양이가 실제로 탈수 증상을 보이는지, 혹은 열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직장 온도계를 사용해야 한다. 집에서 고양이의 체온을 재기 힘들다면 동물병원에 가도록 하자.
또 고양이가 자기 코를 핥으면 코가 건조해질 수 있다. 고양이는 늘 자기 몸을 핥아서 그루밍을 한다. 혀를 낼름거리면서 자연스럽게 코를 핥게 되고 그러면 코가 건조해진다. 그리고 고양이는 따뜻한 햇빛을 즐긴다. 햇빛이 잘 드는 창가에 누워있다 보면 고양이의 코가 건조해진다.
만약 고양이가 혼수상태, 식욕상실, 평소와 다른 무기력증을 보이면서 동시에 고양이의 코가 건조하다면 걱정해야 한다. 코로 고양이의 건강을 진단하기보다 고양이가 실제로 보이는 다른 증상에 더 주의하는 편이 좋다.
![]() |
고양이의 코가 건조하고 껍질이 벗겨지거나 딱딱할 때
반려묘의 코가 그냥 건조하기만 하다면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건조하면서 각질이 벗겨지거나 딱딱하다면 주의해야 한다. 뾰루지나 물집이 생겼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또 천포창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의 증상이기도 하다.
다른 증상으로는 고양이의 귀, 코, 얼굴 등 다른 부위의 피부가 붉어질 수 있다. 발바닥으로 옮겨 가면 발톱이 빠지기도 한다. 만약 코의 각질 이외에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질병이 심화된 상태이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비강 색깔 변화
고양이 코 색깔은 일반적으로 모피 색깔에 따라 옅은 분홍색부터 갈색까지 다양하다. 또 코의 색깔은 온도 변화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변한다. 이는 코의 색을 나타내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양이가 나이를 먹으면서 코의 색깔이 바뀌기도 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
고양이의 코에서 분비물이 나올 때
고양이의 코에서 나오는 모든 분비물을 경계해야 한다. 코 막힘, 종양 또는 감염 등 여러 질병의 증상이기 때문이다. 맑은 콧물, 피가 섞인 콧물, 점액질 분비물 등 고양이 코에서 무언가가 나온다면 동물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고양이가 호흡 곤란을 보이는 경우
호흡 곤란은 즉시 수의사의 처치를 받아야 하는 심각한 문제다. 비강 종양 및 감염 때문에 고양이의 코가 막혀 호흡 곤란이 발생한다. 집에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으므로 당장 동물병원에 가도록 하자.
고양이의 코가 부었거나 물리적인 상처를 입었을 경우
폴립, 종양, 감염 또는 다른 형태의 손상이 있거나 물리적으로 찰과상을 입었을 때 고양이 코가 부어오를 수 있다. 호흡에 문제가 없다면 급하게 동물병원에 가지 않아도 된다. 작은 상처라면 집에서 자연 치유되도록 기다려도 되며 종양 등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도록 하자.